CPS 문해력 진단

중1 첫 시험 후의 현실 인식. 너무 늦습니다.

독서 수업 몇 년 했으니 

국어 준비는 문제없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

독해 수준을 객관적 데이터로 상대 비교해보세요.


대한민국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 데이터를 얻기 위해 6년을 준비했습니다.


아이마다 글을 보는 관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그런 관점들의 융합이 전체적인 독해수준을 결정합니다. 진단을 통해 아이들의 상태를 파악하여 교육을 진행합니다.


□ 목표

글의 이해, 즉 독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결과에 따라 문해력 학습을 체계적으로  이끄는 나침반 역할

 

□ 필요성

문해력 학습에 우선할 것은 글을 읽는 수준과 패턴 파악

어릴 때 잘못 형성된 읽기 습관이 고착하기 전 현황 파악이 필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문해력 부족이 학습능력 저하로 연결

 

□ 진단 영역

어휘 이해, 구조 이해, 의미 이해, 문장 표현 등 4가지 영역을 측정

영역별로 17개 분석틀(프레임)으로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측정

 

□ 진단 방법

현재 4개 레벨로 나누어 측정(레벨당 120문항)

(소요시간 80분 / 120문항)


□ 진단 결과

영역별/프레임별 강약 진단을 통해 문해력 수준 확인

향후 집중적으로 훈련할 방향 확인

진단 결과 데이터의 상대평가는 스스로 확인하는 가늠자

 

□ 기존 문해력 진단과의 차별화 요소

언어사고력 관점에서 설계한 과학적 문해력 진단 도구

문해력 현황을 총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문항수

독해 영역별로 해당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상대적 분석


각 영역별로 강약점을 진단합니다. 

글을 살펴보면 어휘에 대한 이해가 있고, 글의 구조가 있고, 문장의 표현에 대한 부분이 있고, 의미부분이 있습니다. 각 영역별 강약을 보면 글을 읽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진단 문항 예시>
<진단 문항 예시>
종합 평가 및 진단 과정의 집중도를 나타냅니다.
종합 평가 및 진단 과정의 집중도를 나타냅니다.
각 측정 영역별 상대 비교를 보여줍니다
각 측정 영역별 상대 비교를 보여줍니다
세부영역과 함께 독해성향을 보여줍니다.
세부영역과 함께 독해성향을 보여줍니다.

알고 있나요?


문해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상위권과 하위권 격차가 커진다는 것,

데이터가 말해주고 있습니다.

4학년의 문해력 진단 평균은 59점대, 

중학교 1학년의 진단 평균은 40점대입니다.

학년이 오를수록 어려워지니 낮아지는 평균은 수긍하지만,

상위 15% 이상의 우수한 그룹은 

학년 구분 없이 점수가 80점 정도로 차이가 없습니다.


무슨 말일까요?


중학교 1학년이 되면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가 확실하게 벌어진다는 말입니다.

독서를 해 왔다는 심정적 위안은 이때는 통하지 않습니다.

중1 이후는 현실이 될 것입니다.


제대로 체계적으로.... 

준비하려면 지금이라도 진단을 해보세요.

업체명 : (주) 퍼즐랜드 I 사업자등록번호 : 106-81-88244 I 통신판매업소 : 제2023-서울양천-1139호

대표자 : 박주봉 I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옥자 seomorning@puzzleland.co.kr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로 376, 법정빌딩 602호 (신정동) I TEL : 02–883–2071 I FAX : 02–883–0708


COPYRIGHT (C) 2024 ㈜ 퍼즐랜드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