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글의 이해, 즉 독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결과에 따라 문해력 학습을 체계적으로 이끄는 나침반 역할
□ 필요성
문해력 학습에 우선할 것은 글을 읽는 수준과 패턴 파악
어릴 때 잘못 형성된 읽기 습관이 고착하기 전 현황 파악이 필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문해력 부족이 학습능력 저하로 연결
□ 진단 영역
어휘 이해, 구조 이해, 의미 이해, 문장 표현 등 4가지 영역을 측정
영역별로 17개 분석틀(프레임)으로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측정
□ 진단 방법
현재 4개 레벨로 나누어 측정(레벨당 120문항)
(소요시간 80분 / 120문항)
□ 진단 결과
영역별/프레임별 강약 진단을 통해 문해력 수준 확인
향후 집중적으로 훈련할 방향 확인
진단 결과 데이터의 상대평가는 스스로 확인하는 가늠자
□ 기존 문해력 진단과의 차별화 요소
언어사고력 관점에서 설계한 과학적 문해력 진단 도구
문해력 현황을 총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문항수
독해 영역별로 해당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상대적 분석
각 영역별로 강약점을 진단합니다.
글을 살펴보면 어휘에 대한 이해가 있고, 글의 구조가 있고, 문장의 표현에 대한 부분이 있고, 의미부분이 있습니다. 각 영역별 강약을 보면 글을 읽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